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아동발달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특히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이들이 공깃돌 놀이를 관찰함으로써 아동들이 도덕적 규칙을 인식하고 수행하는 양상을 발견해내고자 하였으며일련의 사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어느 쪽의 아이가 더 나쁘고 왜 그러한가에 대한 일상적 면접을 실시하였습니. 이를 통해 네 단계의 도덕성발달단계를 식별해 내었습니다.

피아제의 도덕성발달단계

(1) 전도덕성 (2-4세) - 규칙이나 질서에 대한 도덕적 인식이 거의 없습니다. 규칙 없이 가상적 놀이나 게임을 진행하며,도덕갈등사태에 대해서 일관성 있는 도덕적 인식을 끌어내기가 불가능합니다.

(2) 도덕적 실재론 (moral realism) (5-7세) : 절대주의적 도덕적 사고를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따라야 할 규칙과 질서가 있음을 깨닫고 존중, 준수하고자 합니다. 규칙은 절대자가 만든 절대적인 것이며 반드시 지켜야 하고 바뀌지 않는 것으로 믿습니다.

(3) 도덕적 상대론 (moral relativism) (8-11세) :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로서 규칙은 사람들이 주어진 사회에서 서로 잘 공존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규칙이 지켜지지 않을 수도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규칙의 속성을 잘 이해하게 되고 규칙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알게 됨 - 규칙은 사람들이 협의하면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

10-16세 소년 72명을 대상으로 하인츠 딜레마 등 9개의 도덕적 갈등상황을 제시하였습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주인공의 행동에 대한 판단,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특성은 남아의 도덕적 판단을 통해 6단계의 도덕성발달단계를 발견했다는 것입니다.도덕성의 단계적 발달은 문화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단계

● 1수준. : 전인습적 수준 (pre-conventional level)으로 도덕성은 외부적으로 통제됩니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단계 중 도덕적 실재론과 동일합니다. 권위적 인물의 규칙을 수용하고 행동의 결과에 의해 판단하며, 처벌을 낳는 행동은 나쁘고, 보상을 가져오는 행동은 좋은 행동이라고 판단합니다.

● 2수준. : 인습적 수준 (conventional level)으로 개인은 사회적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존중하지만, 그것이 자기 관심의 이유는 아니라고 보는 것입니다. 아동이 사회적 체계의 규칙을 유지하는 것이 자신에게 중요한 인간관계를 지속하게 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옳은 행동은 타인을 기쁘게 하고 인정받는 행동으로 여기게 되고 타인의 기대에 부합하고자 하는 동기가 있습니다. 대다수 사람이 갖는 고정관념에 동조합니다. 심리적인 인정에 관심이 있고 착해짐으로써 타인의 인정을 얻게 됩니다. 사회적 규제의 수용, 의도에 의해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시작합니다.

● 3수준 : 후인습적 수준으로서 개인은 규칙과 법보다는 양심과 자연과의 조화를 더 중시하게 됩니다.이 수준의 도덕성은 모든 상황과 사회에 적용되는 추상적 원칙과 가치를 중시합니다. 성인들의 가치체계를 가지게 됩니다. 옳은 행동은 사회 전체가 합의한 기준에 따르는 행동이며 개인의 권리를 중시하며 합리성에 따라 사회적 기준이 바뀔 수 있음을 인식합니다. 법은 개인의 자유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정되는 것으로 성원들의 보다 나은 이익을 위해 바뀔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도덕적 융통성을 가지게 됩니다. 옳은 행동은 자신이 선택한 윤리적 원리와 일치하는 양심에 의해 결정되며, 인간의 존엄성, 정의, 사랑, 공정성에 근거를 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행동지침이라고 자각하게 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도덕성. 때로는 다수가 수용하는 사회적 질서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발달단계 이론의 한계

(1) 후인습적 도덕성, 특히 6단계 도덕성의 적합성 여부 : 5단계의 도덕성 비율은 10% 미만, 6단계 도덕성은 드물다 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 도덕발달양상일 수는 있으나 실재 인간의 도덕발달양상으로 볼 수 있는가는 문제가 있습니다.

(2) 도덕적 퇴행현상 : 도덕발달은 상황에 대한 인지판단능력에 근거하므로 인지감퇴가 있기 전까지 도덕성 발달단계가 퇴보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대학생 시기에 4단계에서 2단계의 전인습적 수준으로 퇴행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3)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위 간의 불일치 도덕적 판단이 가능하다 하더라고 도덕적 행위가 나타난다고 보기 어렸습니다.

(4) 콜버그 이론은 미국 중상류 백인(남성)들의 도덕적 가치를 반영하는 즉, 문화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5) 도덕성의 본질에 대한 문제: 콜버그 이론의 이상적 도덕성은 개인의 권리와 공정성만을 반영. 인간관계 내의 타인 배려와 관심이라는 관계적 측면을 등한시하고 있습니다.